패키지는 네이티브 코드를 건드리지 않은 dart 코드만으로 이루어진 라이브러리를 의미합니다.
반면에 플러그인은 네이티브 코드를 MethodChennel로 통신하며 dart 코드와 어우러진 라이브러리를 의미합니다.
flutter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려한 위젯들은 대부분 패키지이고,
카메라, 위치 등 하드웨어 기능을 사용하도록 하는 위젯은 플러그인 이라고 이해하면 될 거 같습니다.
우선 Flutter 환경 설정이 완료된 상태여야 합니다.
위의 글을 읽고 환경 설정을 진행해주세요.
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해서 플러터 프로젝트를 만들어줍니다.
flutter create <name>
여기서 기재해야 하는 파라미터에 대해 설명 드립니다.
org
패키지명의 앞부분 — 즉, 기관명을 지정하는 곳입니다.
flutter create <name> --org com.gmail.wjlee611
이런 식으로 적으면 패키지명은 com.gmail.wjlee611.<name> 이런식으로 생성되게 됩니다.
AOS, iOS 네이밍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니 참고만 부탁 드립니다.
a, i
AOS, iOS의 네이티브 코드의 언어를 지정하는 곳 입니다.
flutter create <name> -a kotlin -i swift
이런 식으로 적으면 네이티브 코드가 kotlin, swift로 생성됩니다. kotlin, swift가 기본값이므로 굳이 적을 필요는 없으나, 저는 적어주는 편 입니다 ㅎ.
platforms
배포(or 샘플 코드)할 플렛폼을 지정합니다.
flutter create <name> --platforms=android,ios
이런 식으로 적으면 AOS, iOS 만을 타겟팅으로 소스코드가 생성/배포되게 됩니다.
적지 않는다면 모든 플렛폼을 대상으로 생성되니 주의해주세요.